Billy's Lab |||

#diary

현대 사회의 복잡함 속에서 자기만의 기준과 법룰’이 없는 삶은 끊임없이 피로를 불러온다[1][2]. 일정한 기준 없이가지, 천 가지를 만들다 보면 괜찮은 것을 취사 선택하는 힘도 없어지고, 결국 무차별적으로 쓰레기만 양산하는 창작자에 그칠 수 있다[3][4].

기준의 중요성

  • 명확한 기준없으면 결정을 내릴 때마다 불안하고, 자신의 작업과 선택에 자신감이 생기지 않는다[5][6].
  • 성장과 효율성을 위해서는, 자기만의 업/다운’, 즉 판단 기준이 반드시 필요하다[7][1].
  • 이럴업이다, 저럴다운이다’라는 개인적 지침이 있어야 피드백이나 선택 과정에서 흔들리지 않는다[3][6].

개인용 지침서 만들기

  • 삶의 복잡도를 낮추고 피로도를 줄이기 위해, 스스로의 기준과 개인용 법룰서’를 만들어 보는 것이 좋다[1][7][2].
  • 기준서는 반드시 거창할 필요 없다. 스스로 이럴이렇게, 저럴저렇게 한다’는 규칙을 문장으로 정리해두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[2].
  • 예컨대, 결정할기술적 자신감이 없다면 조금공부한다, 내가 만든 창작물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1일 뒤에 다시 본다, 피드백논리적 기준과 개인적 취향을 구분해서 받아들인다’와 같이 구체적인 행동 지침이 기준서가 된다[3][5].

기준 없는 삶의 피로

  • 기준 없이 계속 결정을 해야 할 때, 에너지와 시간이 불필요하게 소모된다[7].
  • 사소한 일상의 선택 하나조차 크게 힘들어진다. 할 일, 인간관계, 창작물, 진로 등에서 분명한 기준이 있어야 일상이 정돈되고 삶이 여유로워진다[1][2].

나만의 법칙 예시

  • 새로운 의견을 들었을 때, 논리적 설명이 붙은 것만 참고한다[3].
  • 내가 만든 것 중 괜찮다고 생각드는 것은 하루다시 검토 후 남긴다[4].
  • 기술적 불안이 느껴질 때, 작은 공부로 자신감을 회복한다[6][5].
  • 하루의 마지막엔선택과 창작물을 정리하고 기록하며, 좋은 것은 남겨두고 불필요한 것은 과감히 버린다[1][2].

[8]

개인의 삶과 창작은 정리’와 기준’의 힘으로 더욱 단단해진다[1][2]. 자기만의 루틴과 원칙이 쌓인 법룰서는 피로를 줄이고, 스스로를 지키는 가장 확실한 방어막이 되어 준다[3][7][5].

인용: [1] 당신에게 정리’란 무엇인가요 - PUBLY - 퍼블리 https://publy.co/content/3199 [2] 성공을 부르는 정리의 힘’ - 매거진한경 - 한국경제 https://magazine.hankyung.com/business/article/202102247332b [3] 창작자가 싫어하는 피드백 유형 3가지, 혹시 당신도? https://contents.premium.naver.com/humanerd/humannerd/contents/250217125242718nr [4] 작품 완성도가 달라지는<웹소설 작법 비법> - 텀블벅 https://tumblbug.com/novelwritingsecrets [5] 역량 정렬과 자기확신의 역할: 개념 리뷰(Med Educ, 2022) https://dohwan.tistory.com/2308 [6] 에듀테크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결정 자기https://www.ejce.org/archive/view_article?pid=jce-27-2-149 [7] 파킨슨의 법칙 - 규칙 세상 - 티스토리 https://doginam.tistory.com/entry/%ED%8C%8C%ED%82%A8%EC%8A%A8%EC%9D%98-%EB%B2%95%EC%B9%99 [8] 창작자를 위한 <캐릭터 설정 가이드북 160> - 텀블벅 https://tumblbug.com/urry5 [9] 창작에 대한 자기만의 대답을 찾아서 『모든 멋진 일에는 두려움이https://casting.kyobobook.co.kr/post/detail/30947 [10] 창작자를 위한 - 카포디 https://capowolfy.com/product/%EC%B0%BD%EC%9E%91%EC%9E%90%EB%A5%BC-%EC%9C%84%ED%95%9C/17/ [11] [PDF] 대학생의 계획된 우연기술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https://oak.jejunu.ac.kr/bitstream/2020.oak/23906/2/%EB%8C%80%ED%95%99%EC%83%9D%EC%9D%98%20%EA%B3%84%ED%9A%8D%EB%90%9C%20%EC%9A%B0%EC%97%B0%EA%B8%B0%EC%88%A0%EC%9D%B4%20%EC%A7%84%EB%A1%9C%EC%A4%80%EB%B9%84%ED%96%89%EB%8F%99%EC%97%90%20%EB%AF%B8%EC%B9%98%EB%8A%94%20%EC%98%81%ED%96%A5%20:%EC%A7%84%EB%A1%9C%EA%B2%B0%EC%A0%95%EC%9E%90%EA%B8%B0%ED%9A%A8%EB%8A%A5%EA%B0%90%EC%9D%98%20%EB%A7%A4%EA%B0%9C%ED%9A%A8%EA%B3%BC.pdf [12] 먼저 저작권이란 무엇일까요? - 저작권등록 https://www.cros.or.kr/psnsys/cmmn/infoPage.do?w2xPath=%2Fui%2Ftwc%2Freginf%2Fcopreg%2FcopReg.xml

Up next 2025-09-01 #Ai #development 자동화 관련되어서 Make 나 n8n 을 사용해봐도, 핵심은 API를 제공하지 않으면, 매끄럽게 힘들다는거고, API없이 웹스크랩으로 Selenium 으로 처리하자니, 시간도 많이 걸리고, 웹페이지 변경시 많은 수고로움이 든다. 기존에
Latest posts 기준의 중요성 2025-09-01 Mina Okabe Likeable 스크린샷, 2025-08-31 15-11-50 LLM devel stepbystep.ipynb 스크린샷, 2025-08-31 14-54-58 LLM 개발기 Pasted image 20250825213922 AI 시대의 코딩, 그리고 새로운 가능성에 대한 단상 2025-07-05 소프트웨어 발전속도 LegacyWindows detected. The boot of your PC is in EFl mode. You may want to retry afler changing it to Blos-compatibility/CSM/Legacy mc Are you sure you want to continue anyway?뭘하란 이야기인가 2025-05-18 2025-05-02 About me Obsidian 사용기 Kaggle 기초 시작하기 linux에서 Orange shortcut 만들기 2025-04-28 2025-04-13 2024-08-04 2024-01-20 2023-12-12 1 2023-12-12 노인들의 카카오톡 글 전달하기 2023-07-17 2023-06-24 jupyter-lab 2023-04-08 주식망기 2023-03-11